일반적으로 설문조사를 할 때 구글이나 네이버 플랫폼을 사용하는데요. 제가 사용해 본 결과로는 네이버와 구글 폼 설문조사 중 구글 설문지가 꽤나 유명하지만 네이버 오피스에서 만든 폼 설문지의 경우 사용하기에 약간 더 편리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둘 다 자세히 보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국내 유저를 위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는 네이버 오피스 폼이 조금 더 직관적이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목차
네이버 오피스
우선 네이버 설문지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네이버 오피스 사이트에 접속해야 합니다.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네이버 오피스의 경우에는 네이버 계정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무료입니다. 또한 나만의 양식을 만들거나 친구들에게 양식을 보내 설문 응답에 대한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는 설문 기능이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폼 서비스란
별도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 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한 네이버 폼 서비스는 내가 원하는 양식의 문서를 작성하고 여러 사람에게 공유하여 한꺼번에 응답을 취합할 수 있는 문서 작성 서비스입니다. 네이버 오피스에서는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과 비슷한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며, 취향에 맞춰 제작 후 오피스 파일로 내보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PC에서도 편집이 가능합니다. 네이버 폼 서비스의 경우 주소록 취합이나 설문조사 등 기존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로웠던 문서 작업을 보다 쉽고 빠르게 개선해 주는 장점도 있기 때문에 많은 장점을 지닌 네이버 오피스죠. 네이버 오피스 폼으로 설문지 만드는 방법에 대해 살펴봅시다.
네이버 폼 사용법
네이버 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네이버 오피스에 들어가서 폼 생성에 들어가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폼 새문서를 만들 때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설문 조사를 위한 새 문서 만들기
우선 새 문서를 만들어 보세요

네이버 폼 상세 설명
기본적인 인터페이스는 위와 같습니다. 하나하나 상세한 설명을 이어가자면 1) 네이버 폼 로고와 문서 제목을 보여줍니다. 2) 현재 로그인한 계정의 별명을 보여줍니다. 별명 왼쪽에는 임시 저장된 문서의 내역을 보여줍니다. 계정 별명 오른쪽의 ‘로그아웃’을 통해 네이버에서 로그아웃 할 수 있습니다. 3) 빠른 실행 버튼과 메뉴 표시 영역입니다. 4) 서브메뉴 버튼 영역입니다. 서브메뉴가 있는 항목은 그룹명 왼쪽에 역삼각형 모양이 표시됩니다. 5) 폼 제목, 설명, 응답 기간을 입력하는 영역입니다. 6)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내용이 저장됩니다. 7) 항목을 입력하는 영역입니다. 주관식 단답형, 주관식 서술형, 단일 선택형, 복수 선택형, 목록 선택형, 선호도형, 표형 항목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8) 항목을 편집 모드로 바꾸는 버튼입니다. 9) 항목을 복제하는 버튼입니다. 현재 항목 아래쪽에 현재 항목이 복제되어 삽입됩니다. 10) 항목을 삭제하는 버튼입니다. 11) 위쪽, 아래쪽 버튼을 통해 항목을 위, 아래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항목 편집 화면 – 폼 수정하기
폼은 아래와 같이 새 문서를 만들면 항목 편집 화면이 나타는데요. 제목 및 응답 기간을 설정하고 다양한 형태의 항목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복수선택을 할 지 단답으로 받을지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사용하기
메뉴의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폼을 최초 공개했을 때 사람들이 보게 될 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응답 및 결과 받기
요약보기 화면에서는 응답 데이터의 요약 정보를 보여줍니다. 항목의 형태에 따라서 막대형 차트나 원형 차트 등을 시각화 해서 보여주는데요. 설문에 응답하는 사용자도 요약보기 페이지를 볼 수 있을지 없을지 설정도 가능합니다.

응답 결과 자세히 보기
응답 결과 자세히 보기 기능을 통해서 시각화 된 요약보기와 더불어, 자료화 된 데이터를 추출 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화면에서는 응답 데이터를 스프레드시트 그리드 형태로 표시를 해 줍니다. 아래와 같이 에겔에서 정렬 된 모습과 닮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응답별 시각과 항목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약 보기 뿐만 아니라 응답 데이터를 엑셀 시트로 뽑아 낼 수 있으니 자료 활용 면에서도 굉장히 좋겠다는 생각이 들죠?
